분류 전체보기17 여섯 가지 품질 조건 이번 포스팅에서는 무역 계약의 기본 조건 중 '품질 조건(Quality Terms)'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품질 결정 방법으로는 크게 여섯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매도인이 계약 당시에 제시했던 견본과 같은 품질의 물품을 인도해야 한다는 방법인 '견본 매매(Sale by Sample)'이다. 국제 무역 계약에서는 주로 미리 물품을 100% 확보해두지 않고, 계약이 성사되면 계약 이행 기간 안에 물품을 확보하거나 제작해서 인도하는 '선물 거래'를 대부분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선물 거래에 활용하기 유용한 견본 매매 방법은 무역 거래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주의해서 공부할 필요가 있다. 견본 매매에서 사용되는 견본은 매도인이 제시하는 견본만 있다고 착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 매도.. 2023. 3. 24. 여러 기준에 따른 청약의 분류 다음은 청약을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먼저 '발행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청약을 분류한 것이다. 이 경우 매도 청약(Selling Offer)과 매수 청약(Buying Offer)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매도 청약은, 매도인이 거래 조건을 제시하며 하는 청약으로, 일반적으로 국제 무역에서 사용되는 청약에 해당한다. 매수 청약은, 매수인이 매입 의사를 밝히며 하는 청약으로, 매입 주문서 등의 형식을 통해 제시된다. 다음은 '발행지'가 어딘지에 따라 청약을 분류한 것이다. 이 경우 국내 발행 청약과 국외 발행 청약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다음으로는 '확정 유무'에 따라 청약을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정 청약(Firm Offer)과 불확정 청약(Free Offer)으로 구분할 수 있다. 확정.. 2023. 3. 23. 청약의 특성 국제 무역 계약은 낙성 계약 및 불요식 계약이므로 당사자의 청약과 승낙만으로 체결된다. 이 포스팅에서는 계약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청약의 특성에 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청약'에 대한 설명이다. 청약은 거래당사자 중 일방(청약자; Offeror)이, 다른 당사자(피 청약자; Offeree)에게 일정한 거래 조건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계약을 체결하고 싶다는 뜻을 '확정적'으로 전달하는 '의사 표시'이다. 청약의 정확한 정의는 '국제 물품 매매 계약에 관한 UN 협약(UN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 Vienna Convention)'의 제14조 제1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청약은 다음과 같은 요건을 갖추어야 한.. 2023. 3. 22. 국제 무역 계약의 특성 및 종속 계약 계약이란 서로 대립하는 의사 표시가 합치된 법률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계약은 양 당사자에게 법적 구속력을 발생시키며, 양 당사자는 계약상의 의무를 다할 책임을 갖는다. 국제 무역 계약은 서로 다른 국가에 속한 당사자 간의 계약이므로, 일반적인 국내 계약보다는 복잡한 성격을 가진다. 무역 계약상의 대상은 물품(Goods)이다. 이러한 물품은 현물(Existing Goods)과 선물(Future Goods)로 나눌 수 있는데, 현물은 매매 계약 당시에 물품이 존재하는 것을 말하며, 선물은 매매 계약 당시에는 물품이 존재하지 않지만, 계약이 체결된 이후에 매도인이 제조 또는 취득할 물품을 말한다. 따라서 선물은 매매 계약 당시에는 종류, 품질, 명세 등으로만 정해진다. 현물은 매매 계약 당시에 특정(asce.. 2023. 3. 21. 이전 1 2 3 4 5 다음